배너 닫기

[K지식사전] 전략이란?

등록일 2025년05월19일 11시34분 트위터로 보내기

전략이란 무엇인가? 경영자와 리더를 위한 전략의 본질

 


[이미지 : 전략을 고민하고 있는 CEO모습 (출처 : 코리아비즈니스리뷰)]

 

 

전략의 정의: 단순한 계획을 넘어 경쟁 우위를 설계하는 사고체계

2025년 5월 19일 기준, 경영학에서 전략은 단순히 장기 계획이나 목표 달성을 위한 로드맵이 아니라,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제한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경쟁 우위를 창출하는 구조적 사고체계로 정의된다.

 

하버드비즈니스스쿨의 마이클 포터(Michael E. Porter)는 “전략은 경쟁에서 어떻게 승리할 것인가에 대한 독특한 포지셔닝과 활동의 조합”이라고 설명하며, 단순히 계획표가 아닌 ‘어떻게 이길 것인가’라는 본질적 질문에 답하는 방향성을 강조했다. 이는 조직이 지속 가능한 성장과 차별화를 이루기 위한 핵심 나침반으로 작용한다.

 

 

선택과 집중: 전략의 핵심 원칙

전략은 모든 것을 다 하려는 시도가 아니라, 희소한 자원과 역량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는 영역에 집중하는 선택의 예술이다.

마이클 포터는 “전략은 무엇을 하지 않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선택과 집중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예를 들어, 이케아(IKEA)는 고급 가구 시장을 포기하고 저렴하면서도 조립이 쉬운 가구에 집중하여 글로벌 가구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했다(IKEA Annual Report, 2023).

 

마찬가지로 스타벅스(Starbucks)는 단순히 커피를 판매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제3의 공간(Third Place)’이라는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며 커피 이상의 가치를 창출해, 2024년 기준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브랜드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Starbucks Investor Relations, 2024)

 

환경 대응과 창조: 전략의 두 가지 역할

전략은 외부 환경에 단순히 적응하는 것뿐만 아니라, 환경을 재정의하거나 유리하게 변화시키는 창조적 활동이기도 하다.

경영학자 헨리 민츠버그(Henry Mintzberg)는 전략을 “의도된 방향성과 창발적 과정”으로 설명하며,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했다.

애플(Apple)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 앱스토어를 통합한 생태계를 구축하여 시장 규칙을 재정의했고, 2024년 기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0%를 기록하며 혁신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Counterpoint Research, 2024).

테슬라(Tesla) 역시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에너지 생태계 기업으로 진화하며 전기차 보급, 충전 인프라,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시장 경계를 재정의했다(Tesla Annual Report, 2024)

 

실행력: 전략의 가치를 실현하는 열쇠

전략은 문서가 아니라 조직의 살아 움직이는 행동 방향이며, 실행 없이는 허상에 불과하다.

맥킨지(McKinsey)의 연구에 따르면, “전략의 70%가 실행에서 실패한다”고 밝히며 실행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McKinsey, 2023) 

전략은 조직 문화, 리더십, 성과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야 실질적 가치를 발휘한다. 삼성전자는 ‘초일류 전략’을 품질 경영, 글로벌 인재 육성, R&D 투자로 실행하며 반도체와 스마트폰 분야에서 2024년 기준 세계 1위를 유지했다(Samsung Electronics, 2024)

도요타(Toyota)도 ‘도요타 생산방식(TPS)’을 현장에 철저히 내재화하여 전략적 실행의 대표적 성공 사례로 꼽힌다(Toyota Global, 2024)

 

전략의 5가지 핵심 질문: 방향 설정의 기초

 

전략 수립 시 다음 5가지 질문에 명확히 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1. 우리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가?

  2. 우리는 누구와 경쟁하고 있는가?

  3. 우리만이 제공할 수 있는 가치는 무엇인가?

  4. 우리의 자원을 어디에 집중할 것인가?

  5. 어떻게 실행하고 성과를 측정할 것인가?
    이 질문들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BR), 맥킨지, BCG 등 글로벌 전략 컨설팅사들이 사용하는 프레임워크의 핵심으로, 전략적 사고의 기초를 제공한다(HBR, 1996)

 

최신 사례: 현대적 전략의 적용

현대 기업들은 전략을 통해 시장에서 차별화된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오픈AI(OpenAI)는 AI 모델 개발을 넘어 ‘AI 생태계’와 ‘API 플랫폼’을 전략적으로 구축하여 전 세계 개발자와 기업을 자사 생태계로 끌어들였으며, 2024년 기준 API가 300만 개 이상의 앱에 통합되었다.

CJ대한통운은 물류 자동화와 AI 기반 배송 최적화로 ‘디지털 전환’ 전략을 실행하여 2024년 국내 물류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샤오미(Xiaomi)는 고가 프리미엄 시장 대신 가성비와 IoT 연동 제품에 집중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성장하여, 2024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3%를 기록했다(Counterpoint Research, 2024)

 


[사진 : 전략은 선택과 집중, 차별화, 실행으로 구성된 조직의 나침반 (출처 : 코리아비즈니스리뷰)]

 

 

결론: 전략, 조직의 나침반 역할

전략은 선택과 집중, 차별화, 실행으로 구성된 조직의 나침반이다.

변화가 극심한 시대일수록 모든 것을 다 하려는 욕심을 버리고, 본질적 가치를 정의하며 남들과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용기가 필요하다.

전략은 자원을 의미 있게 활용하기 위한 의도된 방향성이며, 조직의 ‘왜(Why)’와 ‘어떻게(How)’를 연결하는 사고체계다.

성공하는 기업은 전략을 실행 가능한 방향성으로 내재화하고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한다.

 

 

저작권자 © 코리아비즈니스리뷰(Korea Business Review)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찬호 기자 (ch.park@koreabusinessreview.com) 이기자의 다른뉴스
좋아요 0 싫어요 0

대한민국 경영저널신문 코리아비즈니스리뷰Korea Business Review를 후원해 주세요

후원문의 : 0507-1480-4044 / 02-6352-1000 

후원 아이콘

코리아 비지니스 리뷰

후원하기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