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자율주행 구현 모습 / 게티이미지뱅크]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9월 20일(화) 정밀도로지도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축 및 갱신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자율주행 디지털 맵 포럼」을 발족하였다.
본 포럼은 전자지도 제작, 자율주행 기술 관련 산․학․연․관을 아우르는 총 52개 기관*이 참여하는 논의체로서 제도협력, 기술협력, 사업협력 등 3개 분과로 구성․운영될 예정이다.
* 공공기관(6개), 민간기업(39개), 연구원(2개), 학계(2개), 협회‧재단법인(3개)
그간 국토교통부는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지원을 위해 정밀도로지도*를 전국 주요도로를 대상으로 구축(’21년 기준 20,653km)하고, 기존 구축구간 중 달라진 부분은 연 단위로 갱신하여 민간에 무상으로 제공해 왔으며,
변경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도로관리청에서 변경정보를 국토교통부와 공유하는 제도*를 마련하여 시행하는 등 최신의 정밀도로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 차선, 표지, 도로시설 등 도로와 주변시설을 3차원으로 표현한 정밀 전자지도로 자율주행차는 정밀도로지도의 정보를 바탕으로 스스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도로정보 등을 인식
* 「자율주행자동차법」 제22조: 도로관리청은 관할 구역에서 도로노선의 변경 등으로 정밀도로지도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도로 변경사항을 국토교통부에 통보하여야 함
하지만, 정밀도로지도 구축 물량이 많아지면서 변화정보를 신속히 파악하기 어렵고, 갱신 비용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정밀도로지도 관련 업계가 변화정보 수집을 위해 각 회사별로 인력 및 장비를 별도로 투입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 요구도 업계를 중심으로 지속 제기되어 왔다.
이번에 발족하는 「자율주행 디지털 맵 포럼」은 정밀도로지도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축 및 갱신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협력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럼은 반기별 1회 개최하는 전체회의와 분기별 1회 개최하는 분과회의로 구분하여 진행될 예정이며, 각 분과 회의에서는 민관이 수집해야 하는 도로 변화정보의 종류와 형식, 해당 데이터의 수집․관리․배포, 사업용 차량 등을 활용한 신속한 지도갱신, 관련 정보의 공유 및 사업 모델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향후 본 포럼을 통해 정밀도로지도 갱신 체계가 개선되면 민관이 중복으로 투입해 왔던 비용이 절감되고, 정밀도로지도 갱신 주기가 단축되어 자율주행차의 안전성 향상은 물론 도입시기 단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는 도로의 변화정보를 민간과 정부가 각각 별도로 반영・갱신하고 있으나, 향후에는 민관이 협업하여 통합된 정밀도로지도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현행 MMS*에 의존한 변화정보 탐지체계가 사업・개인용 차량의 탐지정보까지 확대되어 연 단위의 갱신주기도 대폭 단축**되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 MMS(Mobile Mapping System): 차량 등에 위성항법장치(GNSS), 라이다, 카메라 등의 센서들을 탑재하여, 도로 노면 및 주변에 있는 지형지물의 위치와 시각정보를 취득하는 장비
** 갱신주기 단축 일정:(현행) 연 단위→(’23) 1달 이내→(’30) 실시간
국토교통부 박지홍 자동차정책관은 “정밀도로지도의 효율적인 갱신과 관리에는 많은 정보․시간․비용이 필요한 만큼, 관련 기관이 공동으로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며, 산업 생태계 발전 차원에서도 긴밀한 협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코리아비즈니스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