립스틱 효과 (Lipstick effect)
경제적 불황기에 만족도가 높으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사치품(기호품)의 판매량이 증가하는 현상이다. 1930년 미국 대공황 시절, 경제가 어려운 데도 립스틱 매출은 오르는 기현상을 보고 붙어진 이름이다.
립스틱이 여성 전용 기호품이라면 남성 전용 기호품은 넥타이므로, 립스틱 효과를 넥타이 효과라고 부르기도 한다.
립스틱 효과는 호황기의 소비패턴을 불황기에도 떨치지 못하는 심리에서 비롯된다. 지갑이 얇아진 소비자에게 비용이 적은 소비는 불황기를 극복하는 합리적 소비패턴이다.
베블런 효과 (Veblen effect)
가격이 오르는 데도 수요가 증가하는 효과를 말한다. 과시욕구로 인해 품질차이가 없어도 고가 상품을 구매하거나, 상품가격이 오를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베블런 효과는 상류층 소비자나 명품족으로부터 나타난다. 이들은 자신을 과시하거나 주위의 시선을 의식하기 위해 비싼 물건을 소비한다.
이 같은 소비자들을 겨냥한 VIP 마케팅은 이들의 과시욕을 이용한 것이다. 이로 인한 과소비는 현대 사회에 있어 빈부격차와 같은 중요한 사회 문제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스놉 효과(Snob effect)
‘스놉(Snob)’은 잘난 체하는 속물을 뜻한다.
‘스놉 효과’는 상품의 소비가 증가하면 남과 다르다는 것을 과시하기 위해 그 상품의 수요가 줄어드는 효과다. 부유한 사람들은 타인과의 차별성을 위해 평소 자주 쓰던 상품이라도 대중화되면 일반 사람들은 잘 모르는 상품으로 소비를 바꾼다.
까마귀 떼에서 혼자 떨어져 고고하게 있는 백로의 모습과 같다고 해서 ‘백로 효과’ 라고도 한다.
이 같은 ‘스놉 효과’는 타인에 의해 소비가 결정된다는 점에서 베블렌 효과와 유사하지만, 대중과 차별화 되고자 하는 ‘스놉 효과’는 ‘대중의 소비’에 영향을 받는 반면, 고가품일수록 과시욕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베블렌 효과’는 ‘가격’에 영향을 받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밴드왜건 효과(Bandwagon effect)
스놉 효과의 반대말이다. 어떤 물건이 유행으로 인해 수요가 높아지면 그에 따라 같이 소비하는 효과로, '편승 효과'라고도 한다. 유행을 따라가 소외되지 않으려는 심리에서 비롯되는 현상이다.
저작권자 © 코리아비즈니스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